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일상

2025년 연봉 실수령액 총정리 – 세후 월급, 얼마나 받을까?

by pacomind 2025. 11. 10.
반응형

연봉 4천만 원, 실제로는 매달 얼마 받게 될까?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등 필수 공제를 반영한 연봉별 실수령액을 2025년 기준으로 정리했습니다.

실수령표와 함께 실질 월급을 정확히 파악해보세요.

월급, 매달 받는거지만 세금도 제대로 알고 받읍시다!


연봉이 곧 내 월급일까?

많은 직장인들이 연봉 제안을 받으면 단순히 12개월로 나눠 월급을 계산합니다. 예를 들어 연봉 4,000만 원이면 매달 약 333만 원을 받을 것으로 생각하기 쉽습니다. 하지만 실제로 내 통장에 들어오는 돈은 훨씬 적습니다.

이유는 바로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소득세, 지방소득세 등 다양한 세금 및 사회보험료 공제가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연봉이 같아도 세후 실수령액은 개인 상황(가족 수, 부양가족 유무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2025년 연봉 실수령액 표 (단신 근로자 기준)

연봉 월 세전 급여 월 실수령액(예상)
2,800만 원 약 233만 원 약 204만 원
2,900만 원 약 241만 원 약 211만 원
3,000만 원 약 250만 원 약 219만 원
3,100만 원 약 258만 원 약 226만 원
3,200만 원 약 266만 원 약 233만 원
3,300만 원 약 275만 원 약 240만 원
3,400만 원 약 283만 원 약 247만 원
3,500만 원 약 291만 원 약 254만 원
3,600만 원 약 300만 원 약 261만 원
3,700만 원 약 308만 원 약 268만 원
3,800만 원 약 316만 원 약 275만 원
3,900만 원 약 325만 원 약 282만 원
4,000만 원 약 333만 원 약 290만 원
4,100만 원 약 341만 원 약 296만 원
4,200만 원 약 350만 원 약 303만 원
4,300만 원 약 358만 원 약 310만 원
4,400만 원 약 366만 원 약 317만 원
4,500만 원 약 375만 원 약 324만 원
4,600만 원 약 383만 원 약 331만 원
4,700만 원 약 391만 원 약 337만 원
4,800만 원 약 400만 원 약 344만 원
4,900만 원 약 408만 원 약 351만 원
5,000만 원 약 417만 원 약 358만 원
5,100만 원 약 425만 원 약 364만 원
5,200만 원 약 433만 원 약 371만 원
5,300만 원 약 441만 원 약 377만 원
5,400만 원 약 450만 원 약 384만 원
5,500만 원 약 458만 원 약 390만 원
5,600만 원 약 466만 원 약 397만 원
5,700만 원 약 475만 원 약 403만 원
5,800만 원 약 483만 원 약 410만 원
5,900만 원 약 491만 원 약 416만 원
6,000만 원 약 500만 원 약 423만 원

※ 2025년 4대보험 및 세율 기준. 부양가족 없음, 비과세 없음 기준. 실제 수령액은 개인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반응형

실수령액 차이를 만드는 주요 공제 항목

  1. 국민연금: 급여의 4.5% 부담 (2025년 상한 적용)
  2. 건강보험 + 장기요양보험: 약 7% 내외 (장기요양보험 포함)
  3. 고용보험: 0.9% (2025년 기준)
  4. 소득세 + 지방소득세: 누진세 구조, 연봉이 높을수록 큰 비중

이러한 공제를 모두 합치면 연봉 5천만 원 기준 약 60~70만 원이 매달 차감됩니다.


실수령액이 실제보다 더 작게 느껴지는 이유

  • 식대, 교통비 등 비과세 수당은 실수령액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음
  • 성과급, 상여금은 연봉 외 별도 항목이므로 실수령과 직접 연결 안 됨
  • 회사 복리후생(예: 통신비 지원, 자녀학자금 등)은 세후 급여에는 포함되지 않음

이직·연봉협상 시 유의사항

연봉을 비교할 때 세전 금액이 아니라 세후 실수령액으로 비교하는 것이 정확합니다. 또한 아래 항목들을 함께 고려하세요:

  • 비과세 항목 포함 여부 (식대, 교통비 등)
  • 성과급 구조 (연봉 외 보너스 유무)
  • 연금, 보험 등 복지 수준
  • 실제 월급날 입금되는 액수 확인

실수령액 계산기 추천

아래 계산기를 활용하면 본인의 실수령액을 보다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습니다:

  • 네이버 연봉 계산기
  • 사람인 실수령액 계산기
  • 잡코리아 연봉 계산기

각 계산기는 입력 항목이 다소 다르므로, 부양가족 수, 비과세 포함 여부 등도 함께 고려해보세요.


결론: 연봉이 아닌 실수령을 기준으로 판단하자

연봉은 말 그대로 ‘총 수입’일 뿐, 매달 통장에 찍히는 금액은 다릅니다.

실수령액은 나의 소비 여력, 저축 계획, 대출 상환 능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취업 또는 이직을 앞두고 있다면 반드시 실수령 기준으로 재정계획을 세우는 습관이 필요합니다.

대한민국 모든 직장인 화이팅입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성공한 투자자가 되는 그날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