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퇴근 전까지 아이를 맡길 곳이 없어요…”
“주말에도 긴급하게 아이 돌봄이 필요할 때가 많아요.”
맞벌이 부부라면 한 번쯤 겪어본 고민, 이제는 정부가 함께 도와줍니다. 바로 ‘아이돌봄서비스’를 통해서요.
이 글에서는
- 아이돌봄서비스가 뭔지
- 어떤 혜택이 있는지
- 누가 신청할 수 있고 어떻게 이용하는지
까지 한 번에 정리해드릴게요.
아이돌봄서비스란?
아이돌봄서비스는 정부가 제공하는 공공 육아 돌봄 지원입니다.
맞벌이, 한부모, 다자녀 가정 등 양육 공백이 생기는 가정을 위해, 돌보미를 집으로 파견해주는 제도예요.
| 서비스 유형 | 주요 내용 |
|---|---|
| 시간제 돌봄 | 일시적·긴급한 돌봄 (등하원, 놀이, 식사 등) |
| 영아종일제 | 만 3개월~만 36개월 이하 자녀 대상, 하루 3시간 이상 |
| 종합형 | 학습지도, 가사 병행 등 맞춤 돌봄 |
| 기관연계형 | 방과 후 아이 돌봄을 기관과 연계해 지원 |

누가 신청할 수 있나요?
| 대상 가구 | 우선 순위 |
|---|---|
| 맞벌이 가정 | YES |
| 한부모 가정 | YES |
| 장애부모·조손 가정 | YES |
| 다자녀 가정 | YES |
| 일반 가정 | 가능 (정부지원 비율 낮음) |
정부지원 대상 여부는 ‘가구 소득 수준’에 따라 결정되며, 소득이 낮을수록 지원 비율이 높습니다.
즉, 중위소득 150% 이하 가정은 정부 지원을 받아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어떤 혜택을 받을 수 있나요?
- 시간제 돌봄 기준, 시간당 11,120원 (2025년 기준)
- 소득 수준 따라 시간당 최대 9,000원까지 정부지원 가능
- 예: 중위소득 120% 가구는 시간당 약 2,000원에 이용 가능
- 주말·야간·공휴일 이용도 가능 (추가 요금 있음)
또한 돌보미는 정부 교육과정 수료 + 신원 확인을 마친 검증된 인력만 참여하기 때문에, 안전성도 높은 편입니다.
반응형
아이돌봄 신청방법은?
STEP 1. 서비스 신청
- 아이돌봄 누리집(아이돌봄서비스.kr)
- 또는 정부24, 복지로 등에서도 연동 신청 가능
STEP 2. 서비스 이용 등록
- 돌봄 형태, 시간, 자녀 정보, 소득 정보 등 입력
- 소득 정보에 따라 정부지원 대상 여부 자동 산정
STEP 3. 지역 센터 배정 및 돌보미 매칭
- 거주 지역의 돌봄센터와 매칭
- 돌보미 상담 후 실제 이용 시작
TIP
- 평일 낮 외에도 긴급 돌봄, 야간 돌봄도 신청 가능
- 최소 하루 전 예약 필요 (긴급 시에는 예외도 있음)
실제 후기 예시
- A씨(30세 직장맘):
“7살 아이 하원 후 혼자 집에 둘 수 없어 걱정이었는데, 아이돌봄서비스 덕분에 퇴근 시간까지 믿고 맡기게 됐어요.
비용도 시간당 3천 원 정도로 부담 없고요.” - B씨(35세 맞벌이 부부):
“아이 둘이 방학이라 종일 함께 있는데, 주중에는 종합형 돌봄으로 수업·간식·놀이까지 챙겨줘서 너무 만족합니다.”
마무리 정리
- 아이돌봄서비스는 정부가 제공하는 육아 돌봄 제도로, 가정에 돌보미를 파견해줍니다.
- 맞벌이·한부모·다자녀 가정은 정부 지원을 받아 저렴하게 이용 가능합니다.
- 신청은 아이돌봄 누리집 또는 정부24에서 간단히 할 수 있어요.
아이돌봄서비스
아이돌봄서비스 신청 국민행복카드발급 및 예치금충전
www.idolbom.go.kr
아이 한 명을 키우려면 온 마을이 필요하다는 얘기가 있죠.
맞벌이 부부들의 육아를 진심으로 응원합니다.
정부의 좋은 서비스를 현명하게 이용하시길 바라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성공한 투자자가 되는 그날까지!
'재테크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 국민행복카드, 첫 아이 준비한다면 지금 꼭 알아야 할 혜택 (0) | 2025.11.07 |
|---|---|
| KT 유심 무상 교체: 해킹 이후 체크해야 할 5가지 (0) | 2025.11.05 |
| 쿠팡이츠, 배민 제치고 서울 1위…공공앱 '땡겨요'의 현재는? (0) | 2025.11.04 |
| 2025년 SBI저축은행 예금금리 비교 분석 – 어디에 맡겨야 할까? (0) | 2025.11.03 |
| 💰 연말정산 미리 준비하기 | 연말 전에 꼭 해야 할 5가지 체크리스트 (0) | 2025.11.01 |